양생(養生) 생명을 북돋다 (BOOST A LIFE) _최혜인 展 > 전시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시정보

양생(養生) 생명을 북돋다 (BOOST A LIFE) _최혜인 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rtcelsi
작성일 21-07-12 13:09

본문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204_0616.jpg
 



전시명 : 양생(養生) 생명을 북돋다

전시작가 : 최혜인 (CHOI, HYEIN)

전시기간 : 2021. 7. 14 ~ 8. 1

전시장소 : 갤러리 도올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87   02.739.1405)





양생(養生) 생명을 북돋다



순환하는 생명 에너지


“썩거나 부패하는 음식을 먹으라. 단, 그것이 부패하기 전까지.” _헬렌 니어링

“먹는 다는 것은 자연을 몸으로 받아들여서 생명의 동력을 얻는 거룩한 행위이다.” _퇴계 이황



내가 먹는 음식도 나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에너지를 섭취해 생

명을 이어가는 일이다. 이는 단순히 끼니를 때우는 것이 아니다. 계절을 음미하는, 몸과 마음

으로 먹는 행위이다. 봄나물을 먹을 때 언 땅을 뚫고 싹을 틔운 생명력과 봄의 초록 기운이,

물기가 많은 채소를 먹을 때 땅의 수분이, 마른 채소를 먹을 때는 햇빛이 몸에 스며드는 느낌

이 든다. 이렇듯 양분을 제공하는 식물과 이를 섭취하는 인간, 모든 생명체는 정밀하게 연결

되어 있다. 서로가 서로에게 존재 조건이 된다.


나는 경험한 것을 그린다. ‘일상’에서 물을 길어 ‘밥’을 짓는다. 매끼 식구들의 먹거리를 준비

하면서 식재료를 만난다. 소소한 듯하지만, 거대한 삶의 영역이다. 내게 영감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평범한 일상 속 관찰이 경험과 만날 때 영감이 부여되고 그 생각을 직

조한다.


한 여름 과일, 채소, 씨앗류를 본다. 물컹한 열매는 질긴 줄기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나에게

치열한 생명력과 삶의 풍경을 보여주는 지표 식물이기도 하다. 햇빛으로 익힌 이 음식들은 태

양의 기운을 인간의 몸 속까지 전달해준다. 먹기 쉽고 자연적이며 생명과 영양이 충만하다.

씨앗은 생명의 출발점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 결과물이기에 이는 다르면서 한편 동일하기

도 하다. 현재의 씨앗에는 절반은 과거, 절반은 미래가 함께 있고 과거의 응축된 시간이 미래

의 시간을 펼치며 순환한다. 단단한 씨앗들은 과일, 채소의 물기 많고 부드러운 덩어리 속에

박혀있다. 이 곳은 조용하고 평화로운, 정적인 공간이 아니다. 삶을 이어가기 위한 끊임없는

스멀거림과 팽팽한 긴장이 서식하는, 동적인 공간인 것이다.


삶은 프로젝트가 아니라 펼쳐지는 이야기로 각기 다름 속에서 조화로움을 추구한다. 생명

을 북돋고 생기의 다양한 측면을 길러내는 ‘양생(養生)’의 장이다. ‘한 마리 제비를 보고 천하

의 봄을 깨닫는다’는 것처럼, 그물처럼 연결된 얽히고설킨 관계망을 일상의 삶 속에서 발견하

고 순환하는 생명 에너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2021. 7. 최 혜 인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319_6915.jpg

해빙하다 Thaw

순지에 금분, 호분, 안료

Gold powder, shell powder, pigment on paper

41x31.5cm

2020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319_8017.jpg

상처받기 쉬운 Vulnerable

순지에 금분, 호분, 안료

Gold powder, shell powder, pigment on paper

41x31.5cm

2020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320_1364.jpg

시작점 Start point

캔버스에 과슈, 아크릴

Gouache, acrylic on canvas

33.5x24.5cm

2021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320_4327.jpg

농익다 Ripen

순지에 백토, 안료

Terra alba, pigment on paper

66x111cm

2020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687_0269.jpg

봄의 생기 A sparkle of spring

장지에 과슈, 백토, 안료

Gouache, terra alba, pigment on paper

72x136cm

2021




87c9b83dcd0910e985cea09542c007b5_1626062717_6848.jpg

기이한 열매 An eccentric fruit

캔버스에 과슈, 아크릴

Gouache, acrylic on canvas

33.5x24.5cm

2021





최 혜 인 HYE IN CHOI 



2017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 졸업

199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同 대학원 졸업

1997 Summer Residency Program (drawing, mixed-media, painting) at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 U.S.A.)



개인전

2021 양생(養生) 생명을 북돋다 (갤러리 도올 기획전)

2019 잠재된 덩어리 (갤러리 도스 기획전)

2017 흡수 (갤러리 담)

2015 A Voyage (Galerie Rhema 기획전, 툴루즈, 프랑스)

2015 점심 (點心) (정부서울청사 갤러리 기획전)

2014 Come & Go (서울대학교 현기순 홀 기획전)

2014 소행성 (갤러리 담)

2013 Life-Go-Round (Galerie Rhema 기획전, 툴루즈, 프랑스)

2012 닮음과 닮지 않음의 사이 (서울대학교 호암 교수회관 기획전)

2008 군집 공간 (공근혜 갤러리) 문예진흥기금 지원전시

2006 식물 기행 (학고재 화랑)

2001 감자 속 사막 (모인 화랑)

1996 두 번째 개인전 (공평 아트 센터 기획전)

1996 첫 번째 개인전 (인데코 갤러리)


주요 단체전

2021 생태, 생태 예술과 여성성 (동덕아트갤러리)

2020 사십 (이원전 40주년 기념전/ 갤러리 도스 기획전)

2020 행복팔경 (세종문화회관)

2020 2019 신 소장품전 (성남큐브 미술관)

2019 두 겹의 그림자 노동 (세종문화회관)

2018 종이 한 장 차이_이원전 (갤러리 토스트, 공갤러리, 모로 갤러리 등등)

2017 초록, 다시 초록_이원전 (서울대학교 우석 홀, 스페이스 수다방)

2015 無心 (소마 드로잉센터 기획전, 서울)

2013 Zig zag (Stuttgart State Academy, Stuttgart, Germany)

2012 식.감 Taste of Life (성곡 미술관 기획, 서울) 외 100여 회 단체전


수상

2019 성남큐브 미술관 신 소장품 선정

2018 한원미술관 Young Artist Project 꿈드림 워크숍(포트폴리오 크리틱) 선정

2009 Seoul Open Art Fair 10 Young Artists 선정

2008 문예진흥기금 (예술창작 및 표현활동 분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소마(Soma)미술관 드로잉 센터 제3기 아카이브 등록 작가 선정

2004 제4회 송은미술 대상전 입선 (예술의 전당, 서울)

1996 미술세계 대상전 입선(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1995 MBC 미술대전 입선(예술의 전당, 서울)

1995 대한민국 미술대전 구상계열 입선(국립 현대미술관, 과천)


공공소장

성남큐브미술관, 분당 서울대 병원, 서울대학교 기숙사, 홍콩 Kerry Hotel, 선화예술고등학교


평론집

『식물성의 사유』, 박영택 지음, pp.84~87, 마음산책, 2003


출판물

『우리 그림, 그려볼까요?』, 신하순, 최혜인, 안지연, 최은혜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4

『생각하는 점, 말하는 선』, 신하순, 최혜인, 안지연, 최은혜 공저, 꿈키아트스쿨 발행, 벽산장학문화재단 후원, 2013



가천대학교, 강원대학교, 단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원대학교,

수원대학교, 안양대학교, 한성대학교 시간 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 기간제 교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역임













사이트 정보

Celsius / Artcelsi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38길 47 이소빌딩
02-3442-5613

Copyright © http://artcelsi.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