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향한 은밀한 서정시
    장경화 (광주시립미술관 학예관)


    2가지 미학의 선택
    강남구는 자연을 보는 2가지 미학을 동시에 선택하고 있다.
    하나는 생물학적 재현의 미학이다. 자연을 양식화나 관념적 표현이 아닌 눈에 보이는 사실적 재현으로 자연미의 탐구와 존중을 충실하게 담아내고자 한다. 다른 하나는 자연의 대상을 사의적(事意的)으로 자아의 심미적 상태로 재해석하는 시각이다. 이러한 시각은 동양의 자연관 사상으로 자연과 자아의 합일치 ‘천인합일’ 사상이다.

    강남구는 서양과 동양의 2가지 자연주의 미학 접근방식을 한 작품에 병행하는 예술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첫 번째로는 그가 미술대학에서 서양미학 교육으로 익힌 서구적 자연주의 미학을 기본으로 한다. 공간과 장소, 시간에 따라 자연의 감흥적 인상과 탐구로 근경을 밀도 깊은 분석을 통해 재현해내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그의 작품에 중심인 전경에 집중시켜 묘사해 내고 있다. 꽃, 나무, 바위, 들판 등을 전경에 집중시키고 후경은 부연하여 배치한다. 최근 석류연작의 경우 후경을 단색 톤의 대담한 처리로 주제 강조에 충실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동양의 자연관이다. 그가 오랜 시간 성장과정의 환경과 감성, 정서에 대한 영향이라는 생각일 것이다. 그는 전라도(순창) 출신으로 유교적 교육을 받아 왔다. 그러한 성장과정에 환경은 그를 동양의 자연관이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게 하였다.

    그가 화가로 작품의 미학적 완성도를 높여가는 시기에 들어 동양적 자연주의는 후경에 관한 문제들을 몽환적이고 신비함을 따뜻하고 온화하게 사의성을 강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는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이렇게 후경의 이미지는 전경의 이미지를 더욱 강조시켜 사실성을 돋보이게 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그의 작품 후경에 대해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현장에서 보았던, 느껴진 감동을 가슴으로 상상을 하는데...(중략) 마음이 머무는 풍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화법은 2005년 개인전부터 추상적 이미지와 구상적 이미지들이 병행을 하면서 후경을 담아내기 시작하였다.

    강남구는 한 작품에 서양과 동양의 2가지 미학의 시각을 적절하게 농축시켜 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이고 자연을 감동적으로 그려가는 훈련을 거듭하여 왔다. 이제 동양적 문화정서를 바탕에 두고 서구의 자연주의 미학을 더욱 숙성시키는 독창적 화법이 서정적 감동의 설레임으로 자연의 생명력은 환생(幻生)되고 있다.

    집요한 분석력과 묘사력
    강남구는 작품제작에 내용과 형식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완성한 장년기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시기에 그의 작품을 돋보이게 하는 부분은 자연의 본질을 집요하게 끄집어내는 분석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묘사력 그리고 작화기법이다. 그의 작품 전경에 위치한 꽃, 나무, 풀 등을 집중적 분석을 통하여 배치시키고 있다. 전경의 꽃잎, 풀잎, 들판 등은 하나하나 섬세한 묘사로 깊은 호흡을 하고 있어 자연생명의 존귀함에 입마추고 싶은 충동이 생겨날 정도로 사랑스럽고 현대인의 각박한 정서를 순화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또한 나뭇가지는 이제 물기를 머금어 생기가 돋아나고 있어 질기고 강한 자연의 심오한 생명력을 담보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연작인 석류작품의 경우, 입안에 침이 고이고 신 맛이 느껴져 석류 알을 탐하고 싶을 감동이 온몸을 휘감는 감동으로 다가온다.이러한 그의 작품에서 섬세하고 집요한 자연의 존귀함을 분석하여 확장시켜 내는 탁월한 묘사력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그는 묘사력의 극대화를 위해 ‘에어브러쉬’를 사용하는 작화기법을 차용하고 있다. ‘에어브러쉬’의 작화기법은 전경에 등장하는 자연의 생명력은 물론 후경의 사의적 표현에 있어서도 시각적 효과를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 강남구가 이처럼 탁월한 자연에 대한 분석력과 집요한 묘사능력은 성실한 예술가로 근성있는 집중력에서 기인되는 것이라 본다.

    현대에 들어 인류는 자본을 앞세운 개발주의로 자연은 무차별 짓밟히고 뭉개어져가는 탐욕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는 이러한 시대상황에 멍들고 지친 자연을 따뜻하며 온화한 미학으로 보듬고 어루만지면서 현대사회에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을 위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이러한 무거운 주제를 그는 결코 무겁지 않고 사랑스럽고 아름답고 환상적인 미학으로 담아내고 있다. 강남구는 이렇게 두려움과 아름다움, 슬픔, 즐거움 등의 무거운 주제를 자신의 예술적 해석을 통해 환상적이고 신비한 미학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서정성의 은밀한 감동
    강남구는 주변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자연풍광과 공간을 온화하고 섬세하게 때로는 은밀한 시각과 분석을 해내고 있다. 그의 분석력이 충분하지 못했다면 아마도 작품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뒤받쳐 주는 묘사력과 세련된 작화기법이 부족하였다면 감동적인 서정성을 확보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예술작품의 감동의 시작은 서정성에 있다. 그만큼 예술에 있어 서정성에 관한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떠한 내용과 형식일 지라도 그에 앞서 중요하다. 강남구에 서정성은 그의 마음에서 우러나와 자연을 질서를 존중하는 애정이 붓 끝에 묻어 꽃잎 하나와 들판의 하찮은 잡초, 돌맹이, 흐르는 냇물에 이르기까지 은밀하게 담겨져 있음이 읽혀진다. 또한 그의 작품에 서정성은 자연의 빛과 시간의 흐름을 타고 관람자의 마음에 머물러 잔잔한 파동을 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강남구는 오늘도 비좁은 스튜디오에 하루를 열어가며 지겨울 정도로 자연을 관찰하고 분석해내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캔버스에 일개미처럼 달라붙어 질리도록 작품 제작에 혼신을 다하는 모습에 숙연함을 감추기 어렵다. 오늘의 그의 모습은 머지않은 미래에 더욱 큰 예술가로 소중한 밑걸음이 되리라 생각된다.







Kang Nam-Gu - private epic poem towards the nature
    Chang Gyung-Hwa (Gwangju Museum of Art, Art and Science Center)



    Selection of two kinds of aesthetics
    Kang Nam-Gu selects two kinds of aesthetics for perceiving the nature at the same time.
    One is the aesthetics of the biological reenactment. He sought to encompass the investigation and respect for the natural beauty as a realistic reenactment that is visible to the eyes instead of the stylization or ideological expression when it comes to the nature. Another one is the gratitude for the nature, and this is the view that re-interprets to ego’s aesthetic state. This view is the East’s ideology on the view of nature, and it is the concept of ‘heaven and the man are one’ that the nature and ego are one.

    Kang Nam-Gu assumes the artistic attitude that addresses two kinds of naturalism aesthetics approach methods of the East and West in one work. The first one is based on the Western naturalism aesthetics that he mastered through Western aesthetics education at an art university. Close-range view is reenacted through deep and dense analysis with nature’s inspirational impression and investigation in accordance to space, place and time. This approach method depicts by focusing on the front view which is the center of his works. Flower, tree, rock, field and others are focused on the front view and the back view is placed by amplifying. In case of the recent pomegranate series, they adhered to the emphasis of the theme by handling the back view boldly in single color tone.

    The second one is the East’s view of nature. This may b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where he grew up for a long time, and the effect on his sentiment and emotion. As someone from Jeonrado (Sunchang), he received Confucian education. This formative background enabled him to blend in with the East’s view of nature in the most natural manner. Starting from the period when he increased the aesthetic completeness of his works as an artist, he strongly expresses the gratitude in a warm and gentle manner but also in a dream-like manner when it comes to the back view related issues pertaining to the Eastern naturalism. This may be natural phenomenon in a way. Likewise, images of the back view emphasize the images of the front view even more to highlight the factuality, which in turn increases work’s completeness.

    He expressed his psychological state when it comes to his works on the back view as, “Imagining the impression that was seen in the field and that was felt with the heart… (omission) the scenery where the heart stays”. The drawing technique of this tendency began to express the back view while depicting abstract and concrete images in conjunction starting from his solo exhibition in 2005. Kang Nam-Gu continued to train himself to concentrate perception of the two kinds aesthetics of the West and the East in one work adequately to increase artworks’ artistic completeness and to paint the nature in an impressive manner. Now, nature’s vitality is getting reincarnated with the excitement of the lyrical impression with the unique drawing technique that matures the naturalism aesthetics of the West even more based on the Eastern cultural sentiment.

    Persistent analytical ability and power of description
    Kang Nam-Gu entered the prime of his life that is completed while increasing the completeness of his work production both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format. The set of skills that make his works stand out during this period are his analytical ability that brings out the nature’s essence tenaciously and the power of description and painting technique that back up this ability.
    Flower, tree, grass and others that are placed in his works on the front view are placed though focused analysis. Floral leaf, grass leaf, field and others at the front view are breathing deep with detailed depiction, one by one, and they are perfect for circulating the dried sentiment of the people in the modern age since they are so lovely to the point that it is not easy to contain the impulse to kiss the nobility of natural life. Moreover, tree branch secures persistent and strong profound vitality of the nature since vitality is born as it has moisture.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recent series, pomegranate artworks, viewers can almost feel the sour taste of the fruit in their mouth, and feel their mouth, watering to the point that they want to eat the pomegranate grain. This impression wraps their entire body. Likewise, it isn’t hard to focus on the superb power of description of his works as he analyzes the delicate and persistent nature’s nobility and expands on his analysis. Moreover, he uses the painting technique that entails utilizing ‘air brush’ to optimize the power of description. ‘Air brush’ painting technique increases the visual effect significantly when it comes to the expression of gratitude of the back view as well as the nature’s vitality that appears in the front view. Kang Nam-Gu’s analytical ability and persistent depiction ability towards the superb nature are based on tenacious concentration as a diligent artist.
    In the modern age, the nature became the target of greed that is stepped on recklessly due to the Developmentalism based on the power of capital. While caressing the bruised and tired nature amidst this situation of the era, with warm-hearted and gentle aesthetics, he is posing a fundamental question to the modern society for the co-existence of the human beings and the nature. Meanwhile, he addresses this otherwise heavy theme, with not so heavy, lovely, beautiful and fantastic aesthetics. Kang Nam-Gu is giving birth to the fantastic and mystic aesthetics once again by utilizing his own artistic interpretation to interpret heavy topics such as fear, beauty, sadness, enjoyment and others.

    Private impression of lyricism
    Kang Nam-Gu is depicting natural scenery and space that are found readily in our surrounding using gentle, delicate and sometimes private perspective and analysis. If his analytical ability wouldn’t be sufficient, then his works may have been left uncompleted. Moreover, if he would have lacked the power of description and stylish painting technique that back up his analytical skill, then he would not have secured impressive lyricism. Lyricism is the start of artworks’ impression. Likewise, the issue of lyricism for art is very important regardless of all times and places no matter what the contents and format may be.
    To Kang Nam-Gu, lyricism seems like caressing even one floral leaf and the trivial weeds and pebbles of the field and even the flowing rivers with his deep affection and respect for the order and the nature that stem from his inner self. He depicts them with affinity that is at the tip of his brush. Moreover, lyricism in his works are sufficient to induce subtle waves while staying in the heart of the viewers when it comes to the flow of the light and time. Today, Kang Nam-Gu is very likely to observe and to analyze the nature tirelessly while opening the day at his narrow, small studio. It is not easy to hide the solemn impression while he devotes himself entirely to his work production like a hard-working ant working on a canvas. His style today will serve as a precious foundation for him to grow into even a greater artist in the very near future.